연쇄살인범 얘기다. 그런데 “여자” 연쇄살인범 이야기이다. 범죄수사학이 다루는 여자 살인범은 그 살해의 대상이 대개 가족이나 친지 등 관계와 공간에 있어 한정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 많은 연쇄살인범들이 사회에 대한 까닭 모를 적대감으로 인해 불특정 다수의 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남자들인 데 반해, 여자 살인범의 방식은 희귀하거나 특별할 수밖에 없다. 대개 여자들의 살인 방법상, “특정한 관계의 누군가”를 목적과 대상으로 삼아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연쇄살인이라는 행위 자체는 드물기 때문이다.
성격장애에 관한 얘기다. 그런데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을 다룬 이야기이다. 관심받기 위해 아픈 척하는 “꾀병”을 떠올리면 된다. 그런데 한층 더 심한 것은,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은 아픈 아이를 돌보는 보호자(대리인)에게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아이는 “아파야만 하는 것”이다.
작가 질리언 플린은, 그다지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페이지 넘기는 손을 멈추지 못하게 하는 힘, 섹시하다고 할 만한 힘으로 이 가족사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 알코올, 가십, 섹스, 날카로운 것으로 제 몸을 파내며 자해하는 커터(cutter), 한 가족의 기능 장애, 살인 사건까지를 능란하게 넘나든다. 그리고 뮌하우젠 증후군이 있다. 1980년대가 거식증의 열병을 앓았다면, 이제는 뮌하우젠 증후군, 특히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이 ‘유행’으로 부상하고 있다.
성격장애에 관한 얘기다. 그런데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을 다룬 이야기이다. 관심받기 위해 아픈 척하는 “꾀병”을 떠올리면 된다. 그런데 한층 더 심한 것은,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은 아픈 아이를 돌보는 보호자(대리인)에게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아이는 “아파야만 하는 것”이다.
작가 질리언 플린은, 그다지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페이지 넘기는 손을 멈추지 못하게 하는 힘, 섹시하다고 할 만한 힘으로 이 가족사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 알코올, 가십, 섹스, 날카로운 것으로 제 몸을 파내며 자해하는 커터(cutter), 한 가족의 기능 장애, 살인 사건까지를 능란하게 넘나든다. 그리고 뮌하우젠 증후군이 있다. 1980년대가 거식증의 열병을 앓았다면, 이제는 뮌하우젠 증후군, 특히 대리인에 의한 뮌하우젠 증후군이 ‘유행’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