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집단 화용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화참조능력과 대화조율능력에 미치는 효과 |
|
2025-04-24 |
|
2 |
 |
특수교육 심리 진단과 평가 = Assessment in education, psychology, and special education |
김동일 |
2025-04-08 |
|
3 |
 |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the Elderly |
|
2025-04-05 |
|
4 |
 |
두 가지 한글판 간이정신상태평가[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비교 : MMSE-KC와 K-MMSE |
|
2025-04-05 |
|
5 |
 |
치매 선별을 위한 MMSE-K와 K-MMSE의 진단 타당도 비교 |
|
2025-04-05 |
|
6 |
 |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절차의 실태와 개선요구Curr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he Diagnosis/Evaluation and Selection/Placement Procedur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
|
2025-04-03 |
|
7 |
 |
특수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반 =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김영미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