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
부석사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component element for the Exterior Space in Buseoksa Temple ) |
|
2022-05-07 |
|
12 |
 |
부석사의 공간구조에 의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 |
|
2022-05-07 |
|
13 |
 |
한국 주요사찰의 풍수론적 입지분석 - 부석사, 봉정사, 해인사를 중심으로 -Location analysis of the major temples ever Feng Shui Korea - focused Temple Buseoksa, Bongjeongsa, Haeinsa - |
|
2022-05-07 |
|
14 |
 |
9~11세기 중반 부석사 무량수전 영역의 건축계획과 구성요소선종과 화엄종을 중심으로 하는 종파관계의 변화와 부석사의 대응을 중심으로 |
|
2022-05-07 |
|
15 |
 |
수치분석을 통한 부석사 무량수전의 평면과 단면 특성에 관한 연구 |
|
2022-05-07 |
|
16 |
 |
현상학 관점으로 부석사 공간 분석 / A Analysis on Space of Pu Sok Sa through Phenomenology |
|
2022-05-07 |